취향시대

요즈음 부쩍이나 개인 취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더불어 이러한 취향을 공유하는 여러가지 모임들에 대한 관심 역시 그 어느때보다 높다.

소셜살롱이라는 단어가 낯설지 않은 현상이 이러한 관심의 증가를 말해준다.
왜일까? 갑자기 없던 취향이 생긴걸까? 왜 서로들 만나지 못해 갑자기 안달이 난걸까?

우선 온라인 SNS 서비스의 피로감을 들 수 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다양한 SNS 서비스들이 이제는 일상이 된지 오래다. 단순하게 흥미를 위한 서비스가 아니라 생활속에 깊숙히 파고들어 언제나 확인하고 살펴보는 서비스가 된 것이다. 온라인에서의 서비스가 익숙하다 못해 그 피로감들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화면 저너머의 익명의 사람들을 위해 올리던 글과 사진들에 피곤해하고 또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에 스스로의 방어기재들이 늘어나면서 뭔가 나와 동일한 느낌의 사람들을 찾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사람들을 찾는데에 동일한 SNS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아이러니는 있지만 여하튼 이렇게 찾아낸 나의 동지(!)들을 만나 그간의 아쉬웠던 부분들을 채워나간다.

그리고 1인 가구의 증가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이유는 또다른 주제라 넘어가고 이렇게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그 결과로 좀 더 느슨한 관계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진 듯하다.

사회적인 분위기로 개인적인 사생활에 대한 존중은 점점 높아지고, 이러한 결과는 회사에서의 워라벨까지 이어지고 그 결과로 졸업 후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관계의 원천이던 회사는 더이상 그 역할을 못하게되면서 사회에서 관계에 대한 필요가 생겨나게 되었다.

물질보다 가치 소비에 대한 관심
한정된 재화를 보다 가치있게 사용하는 것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조금 더 가격이 나가더라도 내가 존중하는 가치를 위해서라면 기꺼이 지갑을 여는 소비자들이 많아졌다. 지구의 환경을 위해서라면 조금의 불편함도 감수할 수 있고, 내가 소중히 여기는 것들에 도움이 된다면 분명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내 소비를 통해 보여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소중한 것들 중에 개인의 취향은 더할 수 없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그 가치를 경험하기위한 모임들에 모여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내가 관계하고 있는 것들로 인해서 나를 규정하는 행위는 어쩌면 이전에 내가 소비하는 브랜드로 나를 규정하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그것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경험’으로 대체한 것이긴 하지만 여전히 그 경험은 한장의 사진, 서비스의 공간을 통해서 보여주는 것은 여전히 새로운 서비스를 기획하고 고민하는 사람들에겐 남아있는 숙제임이 분명하다.